경비지도사 시험과목
경비업무현장에서 경비지도사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소방안전관리사나 공인중개사는 건물과 관련한 일을 하지만 경비지도사는 사람과 안전에 관한 업무를 보기 때문입니다. 국가전문자격증으로서 경비업법 제2조 2호에 의거한 경비지도사 시험은 어떤 식을 공부를 해야 합격하고 어떤 일을 하며, 얼마나 벌까요?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을 알아보기전에 본인이 경비원 및 경비지도사의 결격사유는 없는지 알아야 합니다. 우선 만18세 미만,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자, 금고 이상의 실형 선고 후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않거나, 금고 이상의 형 집행유예선고받고 이 유예기간중에 있는 자 등등 이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경비지도사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경비지도사 종류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을 준비하시기 시작하신다면 우선 어떤 종류의 경비지도사로 준비를 하실지 정하셔야 합니다. 시험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일반경비지도사와 기계경비지도사입니다. 우선 기계경비지도사부터 설명을 드리자면 기계경비지도사는 기계에 의한 경비를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경보가 발생하면 경비원을 파견하는 경우를 말하며, 시험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으로 두 번째 경비지도사의 종류는 일반경비지도사입니다. 이들은 신병보호업무, 호송경비업무, 시설경비업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집단민원현장등에서도 업무 수행을 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경비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여기에 해당하게 됩니다. 여기서 특수경비 신임교육을 이수하면 특수경비지도사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경비지도사 시험 난이도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은 1차시험과 2차시험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경비지도사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 1년에 1회를 실시하며 1년에 600여명을 뽑습니다. 이 중에서 540명은 일반경비지도사 나머지 60여명은 기계경비지도사입니다. 소수를 뽑으며 시험과목 자체도 조금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경비지도사 시험과목, 1차 과목의 응시대상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응시가 가능합니다. 경비지도사 1차 과목은 법학개론과 민간경비론입니다. 두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하며, 40점이 과락입니다. 2차 시험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일반경비지도사와 기계경비지도사로 나뉘죠. 시험과목도 조금씩 바뀝니다.
경비지도사 2차시험 과목
경비지도사 시험과목 2차시험에서 일반경비지도사는 1차 시험에서 접수할 때 일반경비지도사로 접수한 후 1차시험을 합격하신 분들이 보게 됩니다. 시험과목은 총 2개인데, 경비업법은 필수로 보며, 소방학, 범죄학, 경호학 중 한 가지를 택해야합니다. 시험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60점 이상 득점자 중에서 고득점 순으로 합격자가 결정됩니다.
경비지도사 시험과목 2차시험 기계경비지도사의 경우에는 응시기준은 위와 동일합니다. 1차 시험에서 기계경비지도사로 접수 후 합격을 하면 응시가 가능하죠. 시험과목도 마찬가지로 2과목입니다. 경비업법을 필수과목으로 보며 기계경비개론, 기계경비기획 및 설계 중 한가지를 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기계경비자도사 합격도 위와 마찬가지로 60점 이상 고득점자 순입니다.
경비지도사 시험준비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에서 1차 시험은 과목당 40문학씩 총 80문항을 보게 됩니다. 경비지도사 1차 시험의 시험시간은 80분이며 4지선다 객관식입니다. 2차 시험도 마찬가지로 과목당 40문항씩 80문항, 시간도 동일하게 80분입니다. 시험방법도 같구요. 특이한 것은 1차 시험 이후에 바로 2차 시험을 보게 됩니다.
경비지도사 시험과목으로 1차시험은 9:30분부터 10:50분까지 보게 됩니다. 이후 40분 정도 후에 11:30분부터 12:50분까지 2차 시험을 보게 되죠. 만약 1차 시험에 불합격이 된 후 2차 시험이 합격이 되었다고 해도 이는 무효화처리가 됩니다. 시험 난이도는 그렇게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경쟁률이 높아서 선발 인원수는 600여명인데, 응시자는 10,000명 이상입니다.